소장형 전자책

- 불교 명상의 기원
- 저 자 :알렉산더 윈 저/박대용 역
- 발행자 :씨아이알(CIR)
- 등록일 :2022.03.04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예스24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최초에, 붓다는 제자들에게 무엇을 가르쳤을까?“불교학의 가장 큰 문제는 붓다가 진실로 무엇을 가르쳤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사실에 있다. 그의 가르침을 담고 있을(빠알리어, 산스끄리뜨어, 티벳어, 한역 등의) 초기 원전의 부재 때문만은 아니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초기 텍스트에는 교리적 차이가 상당수 내포되어 있어, 붓다의 진짜 가르침이라고 추정되는 정형구조차도 사실은 확실치 않다고 밝히고 있다.”이 책은 저자 알렉산더 윈이 자신의 옥스퍼드대학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해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초기불교 명상에서 구차제정(九次第定)의 문제와 붓다의 스승으로 묘사된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진위 논쟁이 갖는 연계성을 철저히 분석해 정리한 최초의 책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지은이의 말 약어제1장 서 론1. 불교의 최초기 형태의 문제2. 불교 기원에 대한 연구3. 문헌들과 고안물들4. 어원에 관한 주의제2장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 1. 문헌 출처와 그 역사적 문제 2. 『오분율』에 나타난 전기 이야기의 역사적 진위 논란3. 두 스승에 관한 추가 문헌4. 웃다까 라마뿟따와 라마 5. 「성구경」에 나타난 다른 특이점 6. 붓다의 성도에 대한 기술로서 「성구경」 7. 해탈의 호칭으로서 ‘무소유’와 ‘비상비비상’ 용어 8. 소결 제3장 무색처정과 초기 브라만전통 1. 「마하바라따」와 초기 불전에 나타난 명상 게송들2. 요소들과 무색계 3. 까시나의 영역kasi??yatana 4. 요소명상과 초기 브라만전통 5. 〈해탈법품〉 속의 요소명상 6. 초기 브라만전통의 우주론과 명상7. 두 스승의 목표 : 초기 우파니샤드식 유사성 8. “보는 중이면서 보지 못한다”라는 경구9. 3장의 결론 제4장 초기 브라만전통의 요가철학1. 바시슈타와 까랄라자나까 왕의 대화(Mbh XII.291)에 나타난 우주생성론 2. 「유무가」에 나타난 우주생성론3. 「슈까누쁘라쉬나하」(?uk?nupra?na?, Mbh XII.224)에 나타난 우주생성론 4. 제4장의 결론5. 제4장 부록: 초기 요가철학의 업설제5장 〈피안도품〉에 나타난 명상 1. 〈피안도품〉의 유산 2. 「우빠시바 바라문의 질문 경」(Stn 1069-76게) 3. 「숫타니파타」 1071-72게: 해탈vimutto/몰입’dhimutto4. 「숫타니파타」 1071-72게: 속박an?nuy?y? 5. 「숫타니파타」 1073-74게: 머무름s?tisiy?6. 「숫타니파타」 1073-76게: 식어감s?ti+√bh?과 소멸함attha?+√gam의 비유 7. 성자의 불가언설不可言說8. 「우빠시바 바라문의 질문 경」의 역사적 중요성 9. 「우다야 바라문의 질문 경」(Stn 1105-11게)10. 「뽀살라 바라문의 질문 경」(Stn 1112-15게)11. 5장의 결론 제6장 결론_불교 명상의 기원과 초기불교 1. 초기불교와 브라만전통 간의 관계2. 초기불교의 논쟁: 선정주의인가 지성주의인가?3. 초기불교에서 지적 성향4. 색계 4선과 그 발전5. 붓다의 진설眞說에 대한 식별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영국 리버풀 출생. 브리스톨대학 학부에서 폴 윌리엄스(P. Williams) 교수와 루퍼트 게틴(R. Gethin) 박사로부터 불교의 기본 교육을 사사하고, 2006년 옥스퍼드대학의 리처드 곰브리치(R. Gombrich)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 11월 성철 스님 탄신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포럼 참가. 현재는 옥스퍼드대학 불교학연구소(약칭 OCBS)의 총괄업무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