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세상에 없던 금융, 디파이(입문편)
- 저 자 :코인게코
- 발행자 :제이펍
- 등록일 :2022.09.08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북큐브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pdf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디파이 개념부터 DEX, 파생상품, 이자 농사까지
따라 하며 배우는 탈중앙화 금융 입문서
디파이가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우리 삶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책. 탈중앙화 금융을 구성하는 요소를 스테이블코인, 대출, 거래소, 파생상품, 펀드, 복권, 지불, 보험, 거버넌스로 나누어 하나씩 자세히 살펴본다. 이더리움 지갑부터 시작해서, 메이커, 컴파운드 파이낸스, 유니스왑, 신세틱스, 토큰세트, 풀투게더 등 실제로 각각의 디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설명도 수록했다. 디파이가 기존 금융 체계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이 책에서 그 현재와 미래를 엿볼 수 있다.
따라 하며 배우는 탈중앙화 금융 입문서
디파이가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우리 삶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책. 탈중앙화 금융을 구성하는 요소를 스테이블코인, 대출, 거래소, 파생상품, 펀드, 복권, 지불, 보험, 거버넌스로 나누어 하나씩 자세히 살펴본다. 이더리움 지갑부터 시작해서, 메이커, 컴파운드 파이낸스, 유니스왑, 신세틱스, 토큰세트, 풀투게더 등 실제로 각각의 디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설명도 수록했다. 디파이가 기존 금융 체계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이 책에서 그 현재와 미래를 엿볼 수 있다.
목차
한국어판 추천사 (김지윤) x
한국어판 추천사 (강현정) xii
베타리더 후기 xiv
원서 추천사 xvi
프롤로그 xvii
PART I│중앙집중화 & 탈중앙화 금융
CHAPTER 1│기존 금융기관
1.1 은행
1.2 탈중앙화 금융 vs. 기존 금융
1.3 읽을거리
CHAPTER 2│탈중앙화 금융
2.1 디파이 생태계
2.2 디파이는 얼마나 탈중앙화되어 있는가
2.3 디파이의 주요 범주
2.4 읽을거리
PART II│디파이 시작하기
CHAPTER 3│탈중앙화 레이어: 이더리움
3.1 이더리움
3.2 스마트 컨트랙트
3.3 이더
3.4 가스
3.5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디앱)
3.6 디앱의 이점
3.7 디앱의 단점
3.8 이더리움의 또 다른 활용처
3.9 이더리움의 미래
3.10 읽을거리
CHAPTER 4│이더리움 지갑
4.1 수탁 지갑 vs. 개인 지갑
4.2 아젠트와 메타마스크
4.3 읽을거리
PART III│디파이 파고들기
CHAPTER 5│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5.1 테더와 다이
5.2 메이커
5.3 메이커 단계별 사용 가이드
5.4 읽을거리
CHAPTER 6│탈중앙화 대출과 차입
6.1 컴파운드 파이낸스
6.2 컴파운드 파이낸스 단계별 사용 가이드
6.3 아베(에이브)
6.4 아베 단계별 사용 가이드
6.5 읽을거리
CHAPTER 7│탈중앙화 거래소
7.1 DEX의 종류
7.2 DEX의 한계
7.3 유니스왑
7.4 유니스왑 단계별 사용 가이드
7.5 DEX 애그리게이터: 1인치
7.6 1인치 단계별 사용 가이드
7.7 읽을거리
CHAPTER 8│탈중앙화 파생상품
8.1 신세틱스
8.2 신세틱스 단계별 사용 가이드
8.3 오픈
8.4 오픈 V1 단계별 사용 가이드
8.5 오픈 V2 단계별 사용 가이드
8.6 읽을거리
CHAPTER 9│탈중앙화 펀드 운용
9.1 토큰세트
9.2 세트의 종류
9.3 인덱스 세트
9.4 이자 농사 세트
9.5 세트의 유용한 점
9.6 토큰세트 단계별 사용 가이드
9.7 읽을거리
CHAPTER 10│탈중앙화 복권
10.1 풀투게더
10.2 왜 탈중앙화 복권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가
10.3 풀투게더의 단점과 당첨 확률
10.4 풀투게더 V3
10.5 풀투게더 토큰
10.6 풀투게더 거버넌스
10.7 풀투게더 단계별 사용 가이드
10.8 읽을거리
CHAPTER 11│탈중앙화 지불
11.1 사블리에
11.2 스트리밍 지불
11.3 스트리밍 개념의 중요성
11.4 탈중앙화 지불의 의의
11.5 사블리에 단계별 사용 가이드
11.6 읽을거리
CHAPTER 12│탈중앙화 보험
12.1 넥서스 뮤추얼
12.2 아머
12.3 아머 단계별 사용 가이드
12.4 그 밖의 보험 플랫폼
12.5 결론
12.6 읽을거리
CHAPTER 13│거버넌스
13.1 아라곤
13.2 아라곤 단계별 사용 가이드
13.3 스냅샷
13.4 스냅샵 단계별 사용 가이드
13.5 읽을거리
CHAPTER 14│디파이 대시보드
14.1 대시보드와 ENS
14.2 재퍼 단계별 사용 가이드
14.3 그 밖의 대시보드
PART IV│디파이 활용 사례와 미래
CHAPTER 15│디파이 활용 사례
15.1 아르헨티나의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는 법
15.2 유니스왑 사용 금지
CHAPTER 16│디파이의 미래
16.1 디파이 사용자 경험은 만족스러운가?
에필로그
부록: 코인게코 추천 디파이 리소스
부록: 코인게코가 추천하는 멋진 프로젝트들
참고 문헌
용어집
한국어판 추천사 (강현정) xii
베타리더 후기 xiv
원서 추천사 xvi
프롤로그 xvii
PART I│중앙집중화 & 탈중앙화 금융
CHAPTER 1│기존 금융기관
1.1 은행
1.2 탈중앙화 금융 vs. 기존 금융
1.3 읽을거리
CHAPTER 2│탈중앙화 금융
2.1 디파이 생태계
2.2 디파이는 얼마나 탈중앙화되어 있는가
2.3 디파이의 주요 범주
2.4 읽을거리
PART II│디파이 시작하기
CHAPTER 3│탈중앙화 레이어: 이더리움
3.1 이더리움
3.2 스마트 컨트랙트
3.3 이더
3.4 가스
3.5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디앱)
3.6 디앱의 이점
3.7 디앱의 단점
3.8 이더리움의 또 다른 활용처
3.9 이더리움의 미래
3.10 읽을거리
CHAPTER 4│이더리움 지갑
4.1 수탁 지갑 vs. 개인 지갑
4.2 아젠트와 메타마스크
4.3 읽을거리
PART III│디파이 파고들기
CHAPTER 5│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5.1 테더와 다이
5.2 메이커
5.3 메이커 단계별 사용 가이드
5.4 읽을거리
CHAPTER 6│탈중앙화 대출과 차입
6.1 컴파운드 파이낸스
6.2 컴파운드 파이낸스 단계별 사용 가이드
6.3 아베(에이브)
6.4 아베 단계별 사용 가이드
6.5 읽을거리
CHAPTER 7│탈중앙화 거래소
7.1 DEX의 종류
7.2 DEX의 한계
7.3 유니스왑
7.4 유니스왑 단계별 사용 가이드
7.5 DEX 애그리게이터: 1인치
7.6 1인치 단계별 사용 가이드
7.7 읽을거리
CHAPTER 8│탈중앙화 파생상품
8.1 신세틱스
8.2 신세틱스 단계별 사용 가이드
8.3 오픈
8.4 오픈 V1 단계별 사용 가이드
8.5 오픈 V2 단계별 사용 가이드
8.6 읽을거리
CHAPTER 9│탈중앙화 펀드 운용
9.1 토큰세트
9.2 세트의 종류
9.3 인덱스 세트
9.4 이자 농사 세트
9.5 세트의 유용한 점
9.6 토큰세트 단계별 사용 가이드
9.7 읽을거리
CHAPTER 10│탈중앙화 복권
10.1 풀투게더
10.2 왜 탈중앙화 복권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가
10.3 풀투게더의 단점과 당첨 확률
10.4 풀투게더 V3
10.5 풀투게더 토큰
10.6 풀투게더 거버넌스
10.7 풀투게더 단계별 사용 가이드
10.8 읽을거리
CHAPTER 11│탈중앙화 지불
11.1 사블리에
11.2 스트리밍 지불
11.3 스트리밍 개념의 중요성
11.4 탈중앙화 지불의 의의
11.5 사블리에 단계별 사용 가이드
11.6 읽을거리
CHAPTER 12│탈중앙화 보험
12.1 넥서스 뮤추얼
12.2 아머
12.3 아머 단계별 사용 가이드
12.4 그 밖의 보험 플랫폼
12.5 결론
12.6 읽을거리
CHAPTER 13│거버넌스
13.1 아라곤
13.2 아라곤 단계별 사용 가이드
13.3 스냅샷
13.4 스냅샵 단계별 사용 가이드
13.5 읽을거리
CHAPTER 14│디파이 대시보드
14.1 대시보드와 ENS
14.2 재퍼 단계별 사용 가이드
14.3 그 밖의 대시보드
PART IV│디파이 활용 사례와 미래
CHAPTER 15│디파이 활용 사례
15.1 아르헨티나의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는 법
15.2 유니스왑 사용 금지
CHAPTER 16│디파이의 미래
16.1 디파이 사용자 경험은 만족스러운가?
에필로그
부록: 코인게코 추천 디파이 리소스
부록: 코인게코가 추천하는 멋진 프로젝트들
참고 문헌
용어집
저자 소개
저 : 코인게코 (CoinGecko)
세계에서 가장 선진적인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2014년 암호화폐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민주화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는 사명으로 설립되었다. 수천 개 암호화폐에 대한 데이터와 수백 개 거래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한다. 2019년에는 신뢰점수 시스템을 도입해 일부 거래소의 거래량 데이터 조작 예방에도 앞장섰다. 보고서, 출판물, 뉴스레터 등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꾸준히 제공해왔다.
본서 집필에는 코인게코 연구팀 대런 라우(Darren Lau), 대릴 라우(Daryl Lau), 테 시 진(Teh Sze Jin), 크리스티안 코(Kristian Kho), 에리나 아즈미(Erina Azmi), 벤저민 호(Benjamin Hor), 루셔스 팡(Lucius Fang), 코 윈 윈(Khor Win Win)이 참여했다.
역 : 디파이크루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도 유망한 프로젝트와 협력하거나 그들의 후원을 받아 프로모션 이벤트 및 개발자 세미나를 기획하여 한국 블록체인 시장의 집단지성을 키우는 데 힘쓰고 있다. 또한, 해외 프로젝트의 기술 문서 또는 홍보 기사를 번역하여 원활한 국내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선진적인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2014년 암호화폐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민주화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는 사명으로 설립되었다. 수천 개 암호화폐에 대한 데이터와 수백 개 거래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한다. 2019년에는 신뢰점수 시스템을 도입해 일부 거래소의 거래량 데이터 조작 예방에도 앞장섰다. 보고서, 출판물, 뉴스레터 등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꾸준히 제공해왔다.
본서 집필에는 코인게코 연구팀 대런 라우(Darren Lau), 대릴 라우(Daryl Lau), 테 시 진(Teh Sze Jin), 크리스티안 코(Kristian Kho), 에리나 아즈미(Erina Azmi), 벤저민 호(Benjamin Hor), 루셔스 팡(Lucius Fang), 코 윈 윈(Khor Win Win)이 참여했다.
역 : 디파이크루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도 유망한 프로젝트와 협력하거나 그들의 후원을 받아 프로모션 이벤트 및 개발자 세미나를 기획하여 한국 블록체인 시장의 집단지성을 키우는 데 힘쓰고 있다. 또한, 해외 프로젝트의 기술 문서 또는 홍보 기사를 번역하여 원활한 국내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