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우리는 왜 잊어야 할까
- 저 자 :스콧 A. 스몰 저/하윤숙 역
- 발행자 :북트리거
- 등록일 :2022.11.03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예스24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잊어야 행복하다’라는 잠언에 숨은최첨단 뇌과학의 놀라운 반전‘기억의 과학’에 가려져 있던 ‘망각의 과학’을 조명하는 책이다. 흔히 ‘잊어야 행복하다’라고 하지만, 이는 그저 오래 산 사람들의 지혜가 담긴 잠언으로 취급될 뿐, 뇌과학의 역할은 ‘어떻게 하면 잘 기억할 수 있고, 그 기억력을 죽을 때까지 유지할 수 있는지’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의 신경학 및 정신의학 교수로서 자타공인 ‘기억 전문가’인 저자는 우리가 걱정하는 증상 중 대다수가 병적 망각, 즉 알츠하이머병이 아니라 ‘정상적 망각’이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최첨단 뇌과학의 연구 결과에 지금껏 만나 온 여러 환자와 주변인의 사례를 녹여내며 ‘망각의 과학’ 이야기를 펼쳐 놓는다. 늘 기억에 대한 강박과 망각에 대한 두려움에 시달리며 살아가는 현대인은 이 책을 통해 망각이 자연스러운 것일 뿐 아니라 뇌의 가장 유익한 기능으로서 우리 정신이 잘 작동하는 데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고화질 사진 같은 기억력을 원하는 당신에게Chapter 1 정상적 망각기억과 망각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얼굴’을 보고 ‘이름’이 떠오르기까지 엄격한 기억 교사, 해마알츠하이머병 vs 정상 노화 망각은 ‘결함’이 아니라 ‘선물’Chapter 2 자폐증새로운 길을 배우려면 ‘잊어야’ 한다 서번트는 정말 천재일까? 얼굴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화 인지 능력 조각조각 쨍그랑거리는 세계에서Chapter 3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참전 경험과 PTSD“코드 레드!” 편도체의 경고 똑같은 일을 겪었는데 왜 나만 이럴까? 사람들과 어울리고 삶에 유머를 더하라 Chapter 4 분노와 공포당신의 뇌는 침팬지인가, 보노보인가 경직, 도피, 또는 투쟁공포와 분노는 감정의 쌍둥이 엑스터시보다 옥시토신Chapter 5 창의성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추상주의 화가내가 걸리면 총으로 날 쏴우리는 잊기 위해 잠을 잔다기억의 밧줄에서 풀려날 때Chapter 6 편견내 뇌가 그렇게 생겼어요뇌의 ‘중앙 집행 본부’내 기억에 대한 기억, 메타 기억인지 휴리스틱, 내 정신의 ‘바나나껍질’암묵 기억의 위험성‘겸손한 기억’은 가능한가Chapter 7 알츠하이머병과 향수병알츠하이머병은 유전될까?엄마가 어떻게 내 이름을 잊을 수 있죠?기억의 윤리 vs 망각의 윤리‘향수병’은 실재하는가애국주의로 불타는 뇌에필로그: 그래서 치료법이 뭡니까?감사의 말주찾아보기
저자 소개
노화와 치매를 전문으로 다루는 의사이자 컬럼비아대학의 신경학 및 정신의학 교수로, 알츠하이머병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자랐으며 현재 뉴욕시에 살고 있다. 지난 20년에 걸쳐 미국 국립보건원의 기금을 받아 실험실을 운영했으며 기억 기능 및 기능 장애에 관한 140편 이상 의 연구를 발표했다. 특히 노화와 질병에 가장 크게 영향받는 해마 부분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는 고해상도 fMRI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을 개척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미국노화연맹의 노화연구 비슨학자상(Beeson Scholar Award in Aging Research Award), 맥나이트 뇌장애 신경과학상(McKnight Neuroscience of Brain Disorders Award), 미국신경학회의 데릭 데니-브라운 젊은신경학자상(Derek Denny-Brown Young Neurological Scholar Award) 등을 수상했다. 저자의 탁월한 연구 성과들은 《뉴욕 타임스》, 《뉴요커》, 《타임》 등 저명한 매체에서 기사로 다루어졌다.
미국노화연맹의 노화연구 비슨학자상(Beeson Scholar Award in Aging Research Award), 맥나이트 뇌장애 신경과학상(McKnight Neuroscience of Brain Disorders Award), 미국신경학회의 데릭 데니-브라운 젊은신경학자상(Derek Denny-Brown Young Neurological Scholar Award) 등을 수상했다. 저자의 탁월한 연구 성과들은 《뉴욕 타임스》, 《뉴요커》, 《타임》 등 저명한 매체에서 기사로 다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