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보리도등론 역해
- 저 자 :아띠쌰 저/중암 선혜 역해 저
- 발행자 :불광출판사
- 등록일 :2022.09.05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예스24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티베트불교 도차제의 사상적 뿌리이자 달라이 라마로 이어지는 겔룩빠의 근본이 된 『보리도등론』! 국내 초역으로 만나다!깨달음으로 가는 길을 비추는 등불, 『보리도등론(菩提道燈論)』. 티베트어 원전을 완역하여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한다. 『보리도등론』은 1042년 쇠퇴해 가는 티베트불교를 다시 세우기 위해 초청된 인도 승려 아띠쌰가 티베트의 법왕 장춥외의 간절한 요청에 따라 저술한 경전이다. 모두 68구의 게송으로 구성된 이 짧은 논서는 후기 인도불교의 사상은 물론, 정통 불교의 맥이 살아 있는 현교와 밀교 양쪽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가르침을 아우르고 있다. 수행자의 근기를 작은 사람(下士), 중간 사람(中士), 큰 사람(上士)으로 나눠 궁극에는 모두가 보살에 이르는 수행법을 담은 이 책은 훗날 티베트불교의 수행체계인 도차제(道次第)의 토대가 되었으며, 종파를 막론하여 반드시 읽어야 하는 대표 수행서로 자리매김했다.우리나라 초역본인 이 책은 역자 중암 스님의 원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티베트어로 된 여러 판본을 비교·대조하여 오류를 바로잡고, 각각의 게송에 숨어 있는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여러 주석서를 탐독, 자세한 주석을 달았다. 30여 년간 인도와 네팔에 머물며 수행과 경론 번역에 매진하고 있는 역자의 공부와 수행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이 책은 티베트불교 수행법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근기에 맞는 수행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목차
· 머리말· 아띠쌰 존자의 약전1부 해제1장 『보리도등론』의 직·간접적 주석서2장 이 책에 인용된 두 가지 탁월한 주석서 소개 1. 빤첸라마·로쌍최끼걜챈의 『보리도등론석승소희연』 2. 걜찹·닥빠된둡의 『보리도등론제호석』3장 『보리도등론』의 개관 1. 『보리도등론』을 위한 아띠쌰의 여정 2. 『보리도등론』 저술의 역사적 배경 3. 『보리도등론』의 역사적 가치2부 『보리도등론』 역해1장 들어가는 말2장 책 이름의 뜻3장 번역례4장 『보리도등론』 강설 제1. 귀경게와 저술의 다짐 제2. 본문의 강설 1. 삼사의 개요 2. 삼사의 각각의 특성 3. 상사의 바라밀다승의 길 4. 상사의 진언승의 길 제3. 저술의 근거와 동기 제4.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