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따뜻한 심리학 : 고단하고 목마른, 하지만 그것도 괜찮은 우리네 일상에 부치는 작은 글들
- 저 자 :김진국
- 발행자 :어나더북스
- 등록일 :2022.06.15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누리미디어(북레일)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모바일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세상일 이것저것에 관심이 제법 많은 심리학자의 오지랖은 문학작품에만 머물지 않는다. 심리학자는 영화, 미술, 드라마, 음악 같은 문화예술 분야에도 교감의 촉수를 뻗는 등 바람 잘 날 없는 우리네 일상에 끼어든다. 이렇게 해서 최근 몇 년간 여러 매체에 기고했던 38개의 글을 모은 책 『따뜻한 심리학』이 출간되었다. 저자는 모란이 지고 없는 계절에 짙어진 시인의 감성으로 전하는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 달라는’ 시구에 시선을 맞춘다. 다시 희망을 기다리는 삶의 자세를 말하기 위함이다. 절정의 모란꽃처럼 화려한 시절이 지나간 것에 대한 슬픔이 경과한 뒤의 ‘내 마음속 모란꽃’을 심는 긍정의 마음가짐이 독자들과 나누고 싶은 깊은 속내다.
목차
여는글
●1장 | 늘 그립다가 문득 사무치게 그리울 때도 있다
보고픈 엄마, 그리운 김장김치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눈물 젖은 빵 먹어 보셨나요?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내 생애 봄날은 간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당신, 내 편이라서 고마워
지가 살아봤냐고? 학은 무슨 학, 닭이다 닭!
하늘나라로 떠난 어머니를 그리며
비 갠 푸른 언덕, 붉은 비처럼 떨어지는 복사꽃
●2장 | 라면은 왜 ‘파송송 계란탁’ 해야 맛있나?
주인공은 왜 모두 집으로 가고 싶어 할까?
서점 문지방을 넘어 멈춤의 세계로 들어가라
니들 이제 X됐어(You’re f****d )!
우리는 왜 트로트에 열광하는가?
아들아, 우리 쓸모 있는 수컷이 되자!
사랑이 변하는 데 이유가 있나?
사랑에 빠진 게 죄는 아니라고?
로버트 드 니로와 안성기의 공통점은 뭘까요?
시인의 부인은 왜 엄동설한 한밤중에 집을 나왔을까?
라면은 왜 ‘파송송 계란탁’ 해야 맛있나?
●3장|마음속에 박힌 못을 뽑아 그 자리에 꽃을 피우며
낚시는 과연 손맛일까?
아파트 옥상에서 김훈과 루쉰을 생각함
300년 명품고택과 소설 속 집 살려낸 사대부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연필과 만년필로 글을 쓴다는 것
프라도미술관에서 사흘 연속 죽친 사연
계란 프라이와 후배의 간짜장
희망의 봄을 기다리며
●4장|‘김지영’이 걸었던 길을 우리 딸들에게도 걷게 할 참인가?
혹시 내가 안희정, 오거돈의 공범은 아닐까?
‘김지영’이 걸었던 길을 우리 딸들에게도 걷게 할 참인가?
‘갑질하는 뇌’가 따로 있다고?
계획하지 않은 임신, 계획된 살인
류호정의 원피스와 스티브 잡스의 청바지
혐오는 무조건 나쁜 감정일까?
막장에서 스러진 이들을 위한 꽃과 노래
넌 대체 누굴 보고 있는 거야?
여성들은 수염 기른 남자를 좋아할까?
●1장 | 늘 그립다가 문득 사무치게 그리울 때도 있다
보고픈 엄마, 그리운 김장김치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눈물 젖은 빵 먹어 보셨나요?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내 생애 봄날은 간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당신, 내 편이라서 고마워
지가 살아봤냐고? 학은 무슨 학, 닭이다 닭!
하늘나라로 떠난 어머니를 그리며
비 갠 푸른 언덕, 붉은 비처럼 떨어지는 복사꽃
●2장 | 라면은 왜 ‘파송송 계란탁’ 해야 맛있나?
주인공은 왜 모두 집으로 가고 싶어 할까?
서점 문지방을 넘어 멈춤의 세계로 들어가라
니들 이제 X됐어(You’re f****d )!
우리는 왜 트로트에 열광하는가?
아들아, 우리 쓸모 있는 수컷이 되자!
사랑이 변하는 데 이유가 있나?
사랑에 빠진 게 죄는 아니라고?
로버트 드 니로와 안성기의 공통점은 뭘까요?
시인의 부인은 왜 엄동설한 한밤중에 집을 나왔을까?
라면은 왜 ‘파송송 계란탁’ 해야 맛있나?
●3장|마음속에 박힌 못을 뽑아 그 자리에 꽃을 피우며
낚시는 과연 손맛일까?
아파트 옥상에서 김훈과 루쉰을 생각함
300년 명품고택과 소설 속 집 살려낸 사대부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연필과 만년필로 글을 쓴다는 것
프라도미술관에서 사흘 연속 죽친 사연
계란 프라이와 후배의 간짜장
희망의 봄을 기다리며
●4장|‘김지영’이 걸었던 길을 우리 딸들에게도 걷게 할 참인가?
혹시 내가 안희정, 오거돈의 공범은 아닐까?
‘김지영’이 걸었던 길을 우리 딸들에게도 걷게 할 참인가?
‘갑질하는 뇌’가 따로 있다고?
계획하지 않은 임신, 계획된 살인
류호정의 원피스와 스티브 잡스의 청바지
혐오는 무조건 나쁜 감정일까?
막장에서 스러진 이들을 위한 꽃과 노래
넌 대체 누굴 보고 있는 거야?
여성들은 수염 기른 남자를 좋아할까?
저자 소개
심리학자, 문화평론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실, 예술의 전당 내 국립예술단체연합회, 고려대학교 인문예술과정 주임교수를 거쳐 현재 융합심리학연구소장으로 있다. 대학, 언론, 정부 부처, 공기업, 사기업 등에서 경력을 쌓으며 동서고금의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한 복합적 콘텐츠 개발에 애쓰고 있다. 대통령과 대기업 회장의 원고를 작성하거나 정관계나 학계 유명인사들의 스피치 라이터로 활동한 특이한 경력도 있다. 대학원 재학 중 심리학(마음)과 의학(몸)을 결합시킨 새로운 융복합 학문을 연구해 보겠다는 야심찬(결과적으로는 무모한) 계획을 꿈꾸며 유학을 떠났다가 좌절했다. 천재도 하기 힘든 일을 범재가 하면 어떻게 되는지를 알게 된 쓰라린 경험이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80년대 말 20대 후반에 시작된 지적 탐험은 계속되고 있다. 일반심리학, 진화심리학, 융심리학, 뇌과학, 신경의학, 신학, 미술사 등 다양한 전문 분야 및 관심사의 문화평론 담론들을 조선, 동아, 한경 등의 매체에 기고하고 있다. TV 패널이나 강연자로도 활동 중이다. 고려대학교 및 동 대학원을 비롯한 국내외 몇 개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학부에서 심리학과 의학을, 대학원 석사과정에서는 임상심리학·문화심리학 그리고 의학을, 박사과정에서 대체의학을 전공했다. 저서로 『재벌총수는 왜 폐암에 잘 걸릴까?』,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삼국지』(근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