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장마 전후
- 저 자 :나가이 가후
- 발행자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 등록일 :2018.05.18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영풍문고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나가이 가후는 도쿄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고증적인 눈을 번뜩이며 무엇이든 기록하곤 했다. ≪장마 전후≫에 에도 도쿄의 긴자나 서민가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가 그려 낸 도쿄는 정감과 역사가 고스란히 녹아 있어, 가히 도쿄라는 도시를 그린 고전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그의 착실한 고증은 도시의 풍경 뒤에 도사리는 어두운 단면까지 포착한다.
당시는 간토 대지진과 금융 공황, 세계 공황이 겹쳐 사회적 불안, 사상적 혼란이 심화되고 찰나주의, 향락주의가 만연한 시기였다. 변모해 버린 도쿄에는 새로운 성 풍속인 카페가 급격하게 불어나고 매춘을 하는 여급이 대거 출현했다. 새로운 풍물에 민감했던 가후의 호기심을 끄는 데 충분한 소재였다. 가후는 카페 여급으로 일하며 매춘을 일삼지만 자유롭고 상냥한 주인공 기미에를 내세워, 당대 카페 여급의 음란한 행태를 꼬집는 동시에 진취적이지 못하고 남성에 의존적인 여성의 태도를 비판한다. 또한 여색에 빠진 카페의 남성 손님들을 뻔뻔하고 얄밉게 그려 내어, 여성을 금전으로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저 잠깐의 유희거리로 업신여기는 남성들을 향해 일침을 가한다.
1920년대 후반 도쿄의 비뚤어진 남녀들을 향한 나가이 가후의 싸늘한 시선은 과연 당대만을 향하고 있을까? 한 세기 가까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물질만능주의와 향락주의가 팽배하고 올바른 남녀관의 확립은 멀고도 험하다. ≪장마 전후≫는 아직도 버리지 못한 우리의 그릇된 가치관을 탈피하는 데 좋은 거울이 되어 줄 것이다.
당시는 간토 대지진과 금융 공황, 세계 공황이 겹쳐 사회적 불안, 사상적 혼란이 심화되고 찰나주의, 향락주의가 만연한 시기였다. 변모해 버린 도쿄에는 새로운 성 풍속인 카페가 급격하게 불어나고 매춘을 하는 여급이 대거 출현했다. 새로운 풍물에 민감했던 가후의 호기심을 끄는 데 충분한 소재였다. 가후는 카페 여급으로 일하며 매춘을 일삼지만 자유롭고 상냥한 주인공 기미에를 내세워, 당대 카페 여급의 음란한 행태를 꼬집는 동시에 진취적이지 못하고 남성에 의존적인 여성의 태도를 비판한다. 또한 여색에 빠진 카페의 남성 손님들을 뻔뻔하고 얄밉게 그려 내어, 여성을 금전으로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저 잠깐의 유희거리로 업신여기는 남성들을 향해 일침을 가한다.
1920년대 후반 도쿄의 비뚤어진 남녀들을 향한 나가이 가후의 싸늘한 시선은 과연 당대만을 향하고 있을까? 한 세기 가까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물질만능주의와 향락주의가 팽배하고 올바른 남녀관의 확립은 멀고도 험하다. ≪장마 전후≫는 아직도 버리지 못한 우리의 그릇된 가치관을 탈피하는 데 좋은 거울이 되어 줄 것이다.
목차
장마 전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 소개
나가이 가후[본명 소키치(壮吉)]는 1879년 12월 3일 도쿄 고이시카와 구에서 태어났다. 1894년 병에 걸려 입원하는 바람에 학업을 잠시 중단한 가후는 병원과 요양지에서 에도 시대의 통속 소설인 희작(戯作) 문학을 탐독했다. 반년 후 복학했지만 학업에 흥미를 잃은 가후는 퉁소와 한시를 배우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1897년 엄격했던 아버지가 일본 우선(郵船)의 상해 지점장이 되어 집을 비우자 유곽에 출입하면서 한학자의 아들답게 에도 음악, 만담, 우키요에(浮世絵) 등에 빠져 지냈는데, 유흥비를 마련하기 위해 집에 있던 한문 서적을 내다 팔기도 했다. 1898년에 히로쓰 류로의 문하생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이와야 사자나미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에밀 졸라에 심취했다. 1902년부터 ≪야심(野心)≫, ≪지옥의 꽃(地獄の花)≫, ≪꿈의 여자(夢の女)≫를 발표했는데, 특히 ≪지옥의 꽃≫은 모리 오가이(森鴎外)의 극찬을 받아 인기를 끌었다. 1908년 가후는 8월에 ≪미국 모노가타리(アメリカ物語)≫를, 이듬해 3월에는 ≪프랑스 모노가타리(ふらんす物語)≫를 출간했지만 퇴폐적 내용과 일본에 대한 모욕적 표현 등이 문제가 되어 발매 금지를 당한다. 같은 해 12월부터는 아사히(朝日) 신문에 ≪냉소(冷笑)≫를 연재하면서 신인 작가로 주목을 받게 된다. 1910년 모리 오가이와 우에다 빈의 추천으로 게이오(慶應)대학 문학부 교수가 된다. 불어와 불문학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대문호들과 친분을 쌓는다. 1916년 대학과 심각한 의견 대립을 겪은 가후는 교수직을 그만두고 신주쿠의 요초마치(余丁町)로 이사하는데, 자기 집을 단초테이라고 부르고 1917년 9월부터 여기에서 이름을 따 ≪단초테이 일기≫를 쓰기 시작한다. ≪단초테이 일기≫는 1959년까지 40년 이상 계속되어 가후의 개인사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사료로서 가치가 크다. 이후 가후는 ≪힘겨루기≫(1917)를 비롯해 ≪에도 예술론(江戸芸術論)≫(1920), ≪오카메자사≫(1920), ≪장마 전후≫(1931), ≪그늘의 꽃(ひかげの花)≫(1934), ≪묵동기담(濹東綺譚)≫ 등의 작품을 남긴다. 1952년 에도 문학 연구의 업적을 인정받아 문화 훈장을 받았으며, 이듬해에는 일본예술원 회원으로 뽑힌다. 말년에 두문불출하고 홀로 살다가 1959년 4월 30일 새벽 서재 겸 침실에서 피를 쏟고 쓰러져 숨을 거둔 채 발견되었다. 향년 80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