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난중일기
- 저 자 :이순신
- 발행자 :스타북스
- 등록일 :2022.11.09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북큐브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군자의 모습이 가장 잘 어울리는 명장의 징비록
이기고 나서 전쟁을 시작한 준비과정의 일기
한산 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앉아
큰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나의 애를 끊나니
이 시조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중에 경남 통영 한산도에 주둔하면서 지은 것으로 잠들지 못하고 나라를 걱정
군자의 모습이 가장 잘 어울리는 명장의 징비록
이기고 나서 전쟁을 시작한 준비과정의 일기
한산 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앉아
큰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나의 애를 끊나니
이 시조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중에 경남 통영 한산도에 주둔하면서 지은 것으로 잠들지 못하고 나라를 걱정
목차
책머리에
임진년(1592)
임진년 정월 | 임진년 2월 | 임진년 3월 | 임진년 4월 | 임진년 5월 | 임진년 6월 | 임진년 8월
계사년(1593)
계사년 2월 | 계사년 3월 | 계사년 5월 | 계사년 6월 | 계사년 7월 | 계사년 8월 | 계사년 9월
갑오년(1594)
갑오년 정월 | 갑오년 2월 | 갑오년 3월 | 갑오년 4월 | 갑오년 5월 | 갑오년 6월 | 갑오년 7월 | 갑오년 8월 | 갑오년 9월 | 갑오년 10월 | 갑오년 11월
을미년(1595)
을미년 정월 | 을미년 2월 | 을미년 3월 | 을미년 4월 | 을미년 5월 | 을미년 6월 | 을미년 7월 | 을미년 8월 | 을미년 9월 | 을미년 10월 | 을미년 11월 | 을미년 12월
병신년(1596)
병신년 정월 | 병신년 2월 | 병신년 3월 | 병신년 4월 | 병신년 5월 | 병신년 6월 | 병신년 7월 | 병신년 8월 | 병신년 윤?8월 | 병신년 9월 | 병신년 10월
정유년(1597)
정유년 4월 | 정유년 5월 | 정유년 6월 | 정유년 7월 | 정유년 8월 | 정유년 9월 | 정유년 10월 | 정유년 11월 | 정유년 12월
무술년(1598)
무술년 정월 | 무술년 9월 | 무술년 10월 | 무술년 11월
에필로그
이순신 연보
임진년(1592)
임진년 정월 | 임진년 2월 | 임진년 3월 | 임진년 4월 | 임진년 5월 | 임진년 6월 | 임진년 8월
계사년(1593)
계사년 2월 | 계사년 3월 | 계사년 5월 | 계사년 6월 | 계사년 7월 | 계사년 8월 | 계사년 9월
갑오년(1594)
갑오년 정월 | 갑오년 2월 | 갑오년 3월 | 갑오년 4월 | 갑오년 5월 | 갑오년 6월 | 갑오년 7월 | 갑오년 8월 | 갑오년 9월 | 갑오년 10월 | 갑오년 11월
을미년(1595)
을미년 정월 | 을미년 2월 | 을미년 3월 | 을미년 4월 | 을미년 5월 | 을미년 6월 | 을미년 7월 | 을미년 8월 | 을미년 9월 | 을미년 10월 | 을미년 11월 | 을미년 12월
병신년(1596)
병신년 정월 | 병신년 2월 | 병신년 3월 | 병신년 4월 | 병신년 5월 | 병신년 6월 | 병신년 7월 | 병신년 8월 | 병신년 윤?8월 | 병신년 9월 | 병신년 10월
정유년(1597)
정유년 4월 | 정유년 5월 | 정유년 6월 | 정유년 7월 | 정유년 8월 | 정유년 9월 | 정유년 10월 | 정유년 11월 | 정유년 12월
무술년(1598)
무술년 정월 | 무술년 9월 | 무술년 10월 | 무술년 11월
에필로그
이순신 연보
저자 소개
이순신
조선 인종 원년인 1545년 서울 건천동에서 태어났다. 자는 여해(汝諧)다. 32세 때인 1576년 무과에 급제해 공직에 나섰으나 강직한 성품 탓에 모함을 받아 파직했다가 복직하기를 반복했다. 그러면서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충청 병사 군관, 발포 수군만호, 함경도 건원보 권관, 훈련원 참군, 사복시 주부, 조산보 만호 겸 녹둔도 둔전관, 전라순찰사 군관 겸 조방장 등을 거쳤다.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임명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해전, 적진포해전, 당포해전 등을 이끌며 전승했다. 1593년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된 후 1594년 장문포해전, 영등포해전 등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1597년 조정을 기망한 죄로 파직되어 투옥되었고 출옥 후엔 도원수 권율 밑에서 백의종군했다. 그해 여름 원균이 이끌던 조선 수군이 칠천량해전에서 대패하자 삼도수군통제사에 다시 임명되어 그해 9월 명량해전에서 12척의 배로 130여 척의 왜선과 맞서 대승을 거두었다. 1598년 노량해전에서 왜선 500여 척과 싸우다 총탄에 맞아 54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1643년 ‘충무(忠武)’의 시호를 받았으며 1793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795년 정조의 명에 의해 유고 전집 『이충무공전서』가 발간되었다.
조선 인종 원년인 1545년 서울 건천동에서 태어났다. 자는 여해(汝諧)다. 32세 때인 1576년 무과에 급제해 공직에 나섰으나 강직한 성품 탓에 모함을 받아 파직했다가 복직하기를 반복했다. 그러면서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충청 병사 군관, 발포 수군만호, 함경도 건원보 권관, 훈련원 참군, 사복시 주부, 조산보 만호 겸 녹둔도 둔전관, 전라순찰사 군관 겸 조방장 등을 거쳤다.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임명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해전, 적진포해전, 당포해전 등을 이끌며 전승했다. 1593년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된 후 1594년 장문포해전, 영등포해전 등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1597년 조정을 기망한 죄로 파직되어 투옥되었고 출옥 후엔 도원수 권율 밑에서 백의종군했다. 그해 여름 원균이 이끌던 조선 수군이 칠천량해전에서 대패하자 삼도수군통제사에 다시 임명되어 그해 9월 명량해전에서 12척의 배로 130여 척의 왜선과 맞서 대승을 거두었다. 1598년 노량해전에서 왜선 500여 척과 싸우다 총탄에 맞아 54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1643년 ‘충무(忠武)’의 시호를 받았으며 1793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795년 정조의 명에 의해 유고 전집 『이충무공전서』가 발간되었다.